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6

맥 mac OS 젠킨스 svn command not found 맥에서 젠킨스 초기 설정 과정을 거의 끝내고 파이프라인 내부에서 svn command 를 sh 명령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 svn command not found 가 뜨며 실패를 한다. 분명 svn 도 brew 를 통해 설치했고 터미널에서는 잘 인식되는데 svn 을 젠킨스에서는 인식하지 못한다. 해결책은 jenkins 환경에 homebrew 환경변수 경로를 추가할 것. homebrew 로 젠킨스를 설치했다면 아래 경로에서 homebrew.mxcl.jenkins-lts.plist 파일을 확인가능하다. /opt/homebrew/Cellar/jenkins-lts/2.xxx.x/ plist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 혹은 plist 자체 편집기로 편한대로 열어 EnvironmentVariables 키를 .. 2025. 4. 16.
맥 mac os 젠킨스 외부접속 설정 파일 수정법 맥이 계속 업데이트 되면서 기존 구글링으로 나오는 정보와는 설정파일의 경로가 다르다.Homebrew 를 통해 젠킨스를 설치했다면 아래 경로에 설정파일이 있다. /opt/homebrew/Cellar/jenkins-lts/2.xxx.x/ 해당 경로에 homebrew.mxcl.jenkins-lts.plist 파일이 있고이 파일을 열어httpListenAddress= 값을 127.0.0.1 에서 0.0.0.0 으로 변경하면 된다. 혹시 /opt 폴더를 찾을 수 없다면 Finder 에서 command + shift + . 을 입력하면 숨김 폴더/파일이 보인다. 2025. 4. 16.
모바일 게임 개발 - Ping 체크 하기 주의점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다가 Region 별로 Ping 을 체크해야할 일이 생겼다. 유니티에서 개발 중에 발생한 일이다.처음에 UnityWebRequest 를 사용하여 응답속도를 체크했었는데,느리다는 점이 문제가 되어서 닷넷의 Ping 클래스를 사용하게 되었다.에디터에서는 문제없이 동작했지만,모바일 빌드에서 문제점이 발생했다. Android 에서는 정상동작하였지만,iOS 에서는 Crash 가 발생했다. mac 에서 콘솔로 로그를 확인해보니 kernel 에서 앱을 죽였다.사유는 시스템 내부에 sbin/ping 을 스캔하려고 시도했다는 것.보안정책 때문에 Ping 을 사용하기 위해 네이티브에 접근하는 것이 차단되어있었다. 결국,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금 느리지만 다시 UnityWebRequest 를 채.. 2025. 4. 12.
[우분투] freedns 도메인 IP 자동갱신 - ddclient 활용 ddclient 라는 것을 설치하여, freedns 에서 만든 무료 도메인이 가리키는 ip 가 변동되어도 자동갱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sudo apt install ddclient ddclient 를 설치하다보면 무언가를 여러번 입력해야하는 창이 뜨는데 대충 아무렇게나 입력하고 나중에설정파일을 직접 수정하도록 하자. 설치가 완료되면  sudo nano /etc/ddclient.conf  해당 파일에 protocol=freednsuse=web, web=checkip.dyndns.orgserver=freedns.afraid.orglogin=내 freedns 계정 이름 (메일아님)password=내 freedns 계정 비밀번호asdf.mooo.com (내 도메인) 이런식으로 입력하고 저장한다. sudo .. 2024. 12. 23.
[우분투] 와이파이 연결이 갑자기 안될 때 설정 - 와이파이에서 와이파이 목록은 뜨지만,와이파이를 선택하면 설정 앱이 튕기는 듯한 현상이 발생했다. 터미널에서 와이파이를 스캔하여 수동으로 연결을 시도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원인NetworkManager 에서 크래시가 발생하는 상태로 추정./etc/netplan/ 경로에 존재하는 .yaml 파일에 중복이 있어 충돌하는 상태이다. - 해결법 /etc/netplan 에 존재하는 yaml 을 모두 삭제한다. 삭제 전 파일들을 복사하여 Desktop 경로 같은 곳에 백업하면 좋다. 변경된 netplan 을 apply 해준다. sudo netplan apply 이제 와이파이가 다시 정상적으로 연결된다. 2024. 12. 23.
ssh PasswordAuthentication no 가 적용이 안될 때 ssh 접속 시에 보안 상의 이유로 비밀번호 로그인을 차단하고,공개 키 방식으로만 로그인하게 만들고 싶을 때 /etc/ssh/sshd_config 를 편집하여 PasswordAuthentication 옵션을 no 로 설정해주면 된다. 하지만 이 옵션을 no 로 아무리 저장해도 여전히 비밀번호 로그인이 활성화 될 때 해결법. /etc/ssh/sshd_config.d/ 경로에 들어가서 파일이 있는지 확인한다. 나의 경우에는 50-cloud-init.conf 파일이 있었다. 이 파일을 열어보니 PasswordAuthentication yes 로 한 줄이 적혀있었다. 이 옵션이 덮어씌워지는 형태이다 보니, 이 파일을 no 로 수정하면 비밀번호 로그인 차단이 제대로 적용된다. 2024.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