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유니티 & C#12 🚀 JetBrains Rider – 유니티 개발자들이 자주 쓰는 세팅 정리 JetBrains Rider는 Unity 및 C# 개발에 특화된 강력한 IDE입니다.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처음 사용하는 경우 어떤 설정을 먼저 해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Unity 개발자 기준으로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Rider 설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자동 저장(Auto Save) 설정기본적으로 Rider는 실행하거나 빌드할 때 파일을 저장합니다.VS Code처럼 실시간 자동 저장이 필요하신 경우 아래 경로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File → Settings → Appearance & Behavior → System Settings응용 프로그램이 유휴 상태일 때 자동 저장 체크다른 프로그램으로 전환할 때 저장 체크✅ 2. 폰트 및 테마 조정코딩 환경을 편안하게 만드는.. 2025. 5. 17. 모바일 게임 개발 - Ping 체크 하기 주의점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면서 특정한 과제가 생겼다. 바로, 유저의 지역(Region)에 따라 서버 응답 속도를 측정하고, 가장 빠른 서버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구현해야 했던 것이다. 이 기능은 특히 글로벌 서비스를 겨냥한 게임에서 중요한 요소다. 예를 들어, 한국, 미국, 일본, 동남아 등 다양한 지역에 서버를 배치해놓고, 각 플레이어의 위치에서 가장 적절한 서버를 자동으로 선택해주는 것이 쾌적한 게임 플레이를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Unity를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UnityWebRequest를 사용하여 각 서버의 응답 속도를 측정했다. HTTP 요청을 날리고 응답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면 대략적인 네트워크 지연(Ping) 시간을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 2025. 4. 12. 유니티 모바일 <가로모드 / 세로모드> 빌드, 런타임 시점에 코드로 컨트롤하기 유니티에서 가로모드와 세로모드를 컨트롤 하는 시점은 2가지 있다. 1. 빌드 시점에 Fix 하기 2. 런타임에 특정 상황에서 Edit 하기 PlayerSetting 에서 컨트롤 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직접 체크해도 되지만 코드로 접근해 보겠다. 먼저, 빌드 시점에 변경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애초에 빌드가 해당 옵션으로 뽑히게 된다. 즉, 앱 실행 시 자동으로 지정한 방향으로 플레이가 시작된다.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로모드는 일반적으로 Auto 로 설정한 후에 LandscapeLeft , Right 를 true 로 해준다. 가로로 돌아간 상태에서 휴대폰을 뒤집으면 해당 방향으로 자동회전 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방법이다. 특이하게 한쪽으로만 고정하고 싶다면 Left, Right 중 .. 2023. 11. 15. 유니티 Target API Level 코드로 수정하기 (API 31 이상 일 때) 안드로이드 빌드 중에 min 혹은 target API level 을 수정해야하는데, 빌드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중 해당 부분을 코드로 접근해야할 경우가 있다. 이 때, PlayerSettings.Android.minSdkVersion = AndroidSdkVersions.AndroidApiLevel22; PlayerSettings.Android.targetSdkVersion = AndroidSdkVersions.AndroidApiLevelAuto; 이런 식으로 Enum으로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유니티 버전에 따라 API 레벨이 특정 구간을 넘어서면 Enum 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런 문제가 생긴다. 이럴 때는 그냥 int 로 입력 후 캐스팅하면 된다. 먹힐까 싶었는데 잘 된다. 단 해당 .. 2023. 11. 6. 유니티 - 런타임에 외부 경로 이미지 로드하여 스프라이트 생성하기 프로젝트에 필요한 스프라이트가 포함되어 있어도 괜찮지만,빌드된 프로그램이 재빌드 없이 내부 리소스가 교체되어야 할 때에는지정된 폴더에서 리소스를 읽어 동적으로 로드해야한다. 예시로 이런 경우도 있다.어떤 게임에서는 유저가 직접 찍은 스크린샷이나 원하는 이미지를 게임 내 UI 나 오브젝트에 텍스쳐로 활용하기도 한다.이럴 때는 빌드에 포함되는 게임 내 리소스가 아니고 배포 이후 유저에 의해 생성되는 파일이다보니 다른 방식으로 로드가 필요하다. 이런 과정에서 동적으로 스프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적어본다! private Sprite MakeSprite(string filePath, Vector2 pivot) { if (string.IsNullOrEmpty(filePath) == true) return n.. 2023. 11. 1. 유니티 UI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때 Maskable 옵션 확인하기 하이어라키 상에 Image GameObject 는 켜져있고, 씬 뷰에서도 아웃라인이 보이지만 이미지가 보이지 않는다면 Image 컴포넌트 옵션에 Maskable 을 확인한다. (해제하면 보통 보임) Image 컴포넌트 두개가 부모-자식간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을 때 Maskable 옵션에 따라 마스킹이 적용된다. 이것 때문에 하위 이미지가 안보이는 경우가 있어서 삽질하다가 적는다. 마찬가지로 하위에 있는 TextMeshProUGUI 컴포넌트도 Extra Settings 에 Maskable 옵션이 있다. 텍스트도 보이지 않는다면 꺼주면 된다. 2023. 11. 1.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